전체 글
-
#5. 왜 학교나 회사에만 가면 잠이 쏟아질까?과학 2023. 7. 4. 08:00
왜 학교나 회사에만 가면 잠이 쏟아질까? 아마 많은 학생들이 학교에 가면 졸리고, 졸음을 참지 못해서 자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물론 전날 공부를 많이 했거나 밤을 새우거나 했으면 졸린 게 당연하다. 그런데 분명 충분한 수면을 취했는데도 학교에만 가면 졸음 쏟아지는 학생들이 많다. 도대체 왜 그럴까? 조사해보니 졸릴 수밖에 없었다. 바로 사람들이 내뿜는 이산화탄소 때문이다. 어느 한 고등학교에 이산화탄소 측정기를 가져가서 측정을 해보니 1교시에 이미 2,000ppm이 나왔고, 한 시간이 지날 때마다 2,000ppm씩 오르더니 점심시간에는 무려 8,000ppm이 되었다고 한다. 수치가 너무 빠르게 올라서 놀란 마음에 급히 창문을 열었다고 한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8,000ppm이 되면 두통과 피로, 집중력..
-
#4. 인간은 유독 머리에 털이 많을까?과학 2023. 7. 3. 14:58
1. 인간은 유독 머리에 털이 많을까? 인간은 태어난 직후에는 털이 많지 않고 자라면서 점차 머리와, 다리, 겨드랑이 등에 털이 많이 나기 시작한다. 팔이나 가슴에도 털이 많은 사람이 있긴 하지만 다른 동물들과 비교해 보면 거의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반면에 포유류나 영장류 동물 중에서는 갓 태어난 새끼인데도 털이 복슬복슬한 경우가 많다. 무슨 차이가 있는걸까? 또 인간은 몸의 다른 부위보다 왜 유독 머리에만 털이 몰려있는 것일까? 사실 인간의 몸은 털이 없어 몇 가지 조건에서 생존에 불리하다. 우서 털이 없는 피부는 햇볕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기 힘들다. 동물의 털은 한여름에 엄청 더워 보이지만 사실 열을 차단해 피부가 받는 열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열이 피부에 채 닿기도 전에 털이 열을 흡수했다가 ..
-
#3. 남자에게 젖꼭지가 있는 이유는 뭘까?과학 2023. 7. 2. 13:00
1. 남자에게 젖꼭지가 있는 이유는 뭘까? 남자는 왜 젖꼭지가 있을까? 남성분들 젖꼭지는 안녕하신가요? 당신은 매일 샤워하면서 보는 젖꼭지. 여성이야 아기에게 모유를 주기 위함이라지만 남자에게는 도대체 왜 젖꼭지가 남아 있는 걸까? 1) 젖꼭지를 만지면 쾌감이 느껴지거나, 우울하거나 '젖꼭지'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단어는 이것일 것이다. '쾌감'! 남성이든 여성이든, 내가 아닌 타인이 내 젖꼭지를 터치했을 때 당신은 어떤 느낌이 들던가? 약간의 쾌감이 느껴지지 않나? 일부 연구자들도 쾌감을 끼기 위해 젖꼭지가 퇴화되어 없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에게 해당하는 거 같진 않다. 왜냐하면 자기 젖꼭지를 자신이나 남이 만지면 우울함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우리나라뿐..
-
#2. 아기 때 기억을 잃어버리는 이유과학 2023. 7. 1. 10:35
1. 아기 때 기억을 잃어버리는 이유 어릴 적 일들, 어디까지 기억하는가? 좋은 건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사람들은 어릴 적 일들을 대부분 기억하지 못합니다. 이런 현상을 '아동기 기억상실'이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어린 시절의 기억은 언제부터 사라지는 것일까? 1) 어릴 때 기억이 자꾸만 사라져 간다 미국 에모리대학교 심리학과 파트리시아 바우어(Patricia J.Bauer) 교수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있다. 연구진은 3세 어린이들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여행이나 공부를 한 일 또는 사고와 같이 좋지 않은 경험 등 일상에서 겪은 일들을 녹음하도록 했다. 이후 6년 동안 어린이가 성장하면서 특정 내용을 어마나 기억하는지 매년 살펴봤다. 그 결과 7세까지는 3세때3세 때 일의 60% 이상을 기억했지만, ..
-
#1. 태어날 때 생겨난 세포가 아직도 남아있을까?과학 2023. 6. 30. 10:30
1. 태어날 때 생겨난 세포가 아직도 남아있을까? 우리 몸에는 100종 이상의, 약 40~70조 개의 세포들이 생성된다. 정자와 난자, 적혈구처럼 하나의 세포로서 기능하는 것이 있고, 신경조직이나, 상피조직 등에 있는 세포들처럼 여러 개의 세포가 모여 기능을 하기도 한다. 또 더 많은 세포가 모여 심장, 폐, 소장, 대장 등 여러 장기기관을 만들기도 한다. 이 모든것은 우리가 태어날 때 만들어지는데, 과연 신생아 때 만들어졌던 세포가 아직도 살아남아 있을까? 1) 아직 한번도 죽지 않은 내 몸의 세포 우리는 학교에서 '세포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죽어 각질로 뜯겨나가고 그 자리에 새로운 세포가 만들어져서 몸을 유지한다'라고 배웠을 것이다. 우리 몸 전체로 봤을때 1초당 최대 약 300만 개의 세포가 죽고 ..